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인도, 유전자 편집된 벼 품종 2종 확보
- 2유기농 업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호주의 유전자 편집 식품 규제 완화는 진행 중이다.
- 3관점: 말레이시아가 유전자 편집 과일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
- 4끝없는 GMO 논쟁: 장단점
- 5관점: 수확량 감소로 유기농업의 미래가 위태로워졌습니다. 생명공학이 필요합니다.
- 6최신 유전자 편집 작물: 수확량 증가, 섬유질 증가, 기후 변화 회복력 뛰어난 귀리
- 7전환점을 맞이한 유전자 편집 작물
- 8관점: 우리가 기존의 첨단 기술 농업에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 9생명공학이 아시아와 오스트랄라시아의 기후 스마트 농업에 미치는 영향
- 10'우리는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충분한 식량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왜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갑자기 농작물이 실패하고 있을까요?
최신뉴스

기후를 위한 농업혁신미션 출범
2021년 11월 2일
11월 2일에 개최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2021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COP26)에서 미국과 아랍에미리트는 31개국 및 48개 이상의 비정부 파트너들과 함께 기후를 위한 농업혁신미션(AIM for Climate)을 공식 출범하였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세계정상회담에서 미국이 5년간(2021-2025) 기후-스마트 농업과 식량 시스템 혁신 투자에 10억 달러를 동원할 의향이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참조: https://www.usda.gov/media/press-releases/2021/11/02/launching-agriculture-innovation-mission-climate



2,940개(1/14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