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
8개(1/1페이지)
생명공학작물은 각국의 규제기관이 안전성 평가를 하기에 앞서 연구개발 단계 전반에 걸쳐 생명공학작물 개발 당사자 (기업, 정부 연구소 등)가 우선적으로 안전성 확보에 만전을 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개발되거나 외국에서 수입되는 생명공학작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해당 분야별로 각 부처에서 나누어 관리하고 있습니다.인체위해성은 보건복지부가 담당하며, 식품으로서 안전성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환경 안전성에 대한 평가는 여러 부처에서 분야별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는데, 농업환경에 대한 안전성은 농림부, 자연환경에 대한 안전성은 환경부, 산업적 이용에 대한 안전성은 산업자원부, 수서생물의 환경안전성은 해양수산부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수입 및 국내 유통 가공식품의 사후관리 및 표시제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관리하며, 국내에서 직접 판매용 농산물의 관리는 국립농산물품질리원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식품으로서의 안전성평가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1999년부터 식품으로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여 안전성심사 업무를 시작했습니다. 2001년 7월 [식품위생법] 개정으로 생명공학식품에 대한 표시제 관리, 2002년 8월 동법 개정으로 생명공학식품의 안전성 평가가 의무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제도 정비를 통해 2004년 2월 27일부터는 안전성 평가를 하지 않은 생명공학기술이 도입된 농·축·수산물 등은 국내에서 수입 및 유통·판매 등 일체의 영업행위가 금지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생명공학식품의 관리에 있어 안전성평가를 받지 않은 식품 등이 국내 유입되지 않도록 관리·감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업무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인 동향입니다. 1) 안전성 평가 심사에서는 무엇을 평가하나요?생명공학식품을 만들기 위해 삽입된 유전자는 원래의 유전자에 비해 아주 적은 양(1/3,4000,000)입니다. 기존의 식품과 비교하여 같은 성분은 지금까지 먹어온 경험에 의해 안전하다고 판단하고, 새로운 특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삽입한 유전자와 그 산물은 단백질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해야 합니다. 즉, 해충저항성 옥수수의 경우 옥수수는 기존에 먹어왔던 경험을 통해 안전하게 먹을 수 잇는 식품이므로 해충저항성을 갖기 위해 인위적으로 삽입한 유전자와 그 산물인 단백질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게 됩니다. 2) 안전성은 어떤 기준으로 평가하나요?생명공학식품의 안전성평가 기준은 “지금까지 안전하게 먹어 온 같은 종류의 식품(conventional counterpart)”입니다. 즉, ‘생명공학콩’의 안전성 평가 기준은 ‘지금까지 안전하게 먹어온 콩’이며, ‘생명공학옥수수생명공학식품의 안전성평가 기준은 “지금까지 안전하게 먹어 온 같은 종류의 식품(conventional counterpart)”입니다. 즉, ‘생명공학콩’의 안전성 평가 기준은 ‘지금까지 안전하게 먹어온 콩’이며, ‘생명공학옥수수’의 안전성 평가기준은 ‘지금까지 먹어온 옥수수’입니다. 이러한 방식의 안전성 평가는 ‘실질적 동등성(substantial equivalence)’개념에 따른 것입니다. 예를 들어 생명공학옥수수가 우리가 먹어 왔던 기존의 옥수수와 어떤 차이가 얼마나 있는지를 과학적으로 분석합니다. 이 때 차이가 없는 부분의 안전성은 기존의 옥수수의 안전성과 같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차이가 있는 부분, 즉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인체에 위해성이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알레르기성, 독성 등의 평가에 의해 문제가 없는지를 봅니다. 여기서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면 생명공학옥수수는 전체적으로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보는 것입니다.우리나라에서 생명공학식품의 안전성평가를 위해 1999년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고시한 [유전자재조합식품•식품첨가물 안전성평가자료 심사지침]도 이 개념을 바탕으로 평가를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지침은 2002년 8월 식품위생법이 개정되어 안전성 평가심사가 의무화됨에 따라 [유전자재조합식품의안전성평가심사등에관한규정]으로 전면적으로 개정되어 2004년 2월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3) 안전성 심사란 무엇이며 누가 하나요?개발사가 생명공학작물의 개발과정에서 직접적인 개발만큼이나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 안전성을 평가하는 과정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안전성을 평가하는 자료가 안전성을 입증하기에 충분한지, 각 자료의 실험과정이 정확하고 타당하게 이루어졌는지 등을 심사하는 것이 국가가 생명공학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취하는 규제, 즉 승인 과정입니다. 식품으로서 안전성을 심사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각 분야의 내•외부 전문가로 이루어진 “유전자재조합식품안전성평가자료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심사위원회는 대학, 연구소 및 연구직 공무원의 전문가 20명으로 구성되며 일반 식품으로서의 특성을 평가하는 식품일반분과, 유전자재조합기술 적용과정 등을 분자생물학적으로 평가하는 분자생물학과, 독성평가를 위한 독성분과, 알레르기성을 평가하는 알레르기분과, 영양학적 관점에서 평가하는 영양분과의 5개 분과에서 전문분야별 평가자료를 심사하게 됩니다. 또한 심사위원회에서 심사한 결과에 대한 투명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청 홈페이지에 그 결과를 공개하여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들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생명공학식품의 국내 유통 판매 등이 승인됩니다.
국내 수입되는 농업용 생명공학작물의 국내 안전관리체계는 [수입승인 > 국경검사 > 유통관리] 3 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별 전담기관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1) 수입승인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사전통보합의(AIA: Advance Informed Agreement)에 근거를 두고, 국내 반입되는 농업용 생명공학작물에 대한 위해성심사 및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하여 수입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위해성심사를 할 때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작물재배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농촌진흥청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위해성심사가 완료된 사료용 생명공학작물은 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종자용 생명공학작물의 경우는 종자관리소장이 국내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하여 수입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2) 국경검사국내 수입되는 농업용 생명공학작물이 수입 승인된 동일품목인지, 위해성심사가 승인된 품목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절차로 식물검역소에서 담당합니다. 국경 검사시 국내 반입이 금지된 농업용 생명공학작물이 적발될 경우, 폐기·반송·처분되며, 국내에서 승인된 사료용 생명공학작물이 3%이하 혼입된 경우에는 혼입치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3) 유통관리국경통관 허용된 농업용 생명공학작물이 운송 등 유통과정에서 비의도적으로 환경에 방출되거나 승인 용도 외 사용되는지 여부에 대해 사료용 생명공학작물의 경우는 농산물품질관리원이, 종자용 생명공학작물의 경우는 종자관리소에서 유통조사 등 관리를 합니다.
농업에 생명공학 기술을 도입하는 사례가 전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생명공학 작물이 경제, 환경, 복지 측면에서 실질적인 이득을 준다는 점이 지속적으로 입증되자, 개도국의 수백만 영세농가를 중심으로 생명공학 작물 재배가 증가하고 있다. 2008년 들어 생명공학 작물의 재배면적이 크게 늘었다는 점은 주목할만하다. 세계적으로도 생명공학 작물을 재배하는 국가와 농가의 수도 덩달아 증가했다. 특히 작물재배 환경이 나쁜 아프리카에서 이 같은 재배가 늘었으며, 우량 특성을 갖춘 새로운 품종의 작물을 도입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러한 변화는 식량안보, 곡물가 상승, 지속가능성, 빈곤과 기아, 기후변화 등 인류가 당면한 중대한 이슈를 해소하는데 생명공학 작물이 나름의 기여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진전이 아닐 수 없다. (James C., ISAAA, 2008)2008년 현재 생명공학 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농업인은 25개국, 약 1330만 명으로 2004년 17개 국, 825만 명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주목할 점은 이들 농업인 중 90% 이상이 개도국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들은 생명공학작물을 통해 직접적인 혜택을 입고 있다는 점이다. (James C., ISAAA, 2008).한편 생명공학기술이 주는 혜택을 기록하고, 입증하고, 계량하는 연구가 있지만 일반인이 이러한 연구에 접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인들이 생명공학 작물의 혜택과 사용상의 안전성과 관련한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정보를 쉽게 접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데이터베이스는 전세계의 생명공학작물의 혜택을 부각시킨 연구들을 엄선해 수록하고 있다. Recently Approved Papers• Global Impact of Biotech Crops: Income and Production Effects 1996-2007 • Consumption of Bt Maize Pollen Expressing Cry1Ab or Cry3Bb1 Does Not Harm Adult Green Lacewings, Chrysoperla carnea (Neuroptera: Chrysopidae). • The impact of using GM insect resistant maize in Europe since 1998 • Efficacy of Cry1F insecticidal protein in maize and cotton for control of fall armywork (Lepidoptera: noctuidae). • Arthropod Abundance and Diversity in Bt and Non-Bt Rice Fields  Popular Papers• Conservation tillage and plant biotechnology: how new technologies can improve the environment by reducing the need to plow • Benefits from Bt cotton use by smallholder farmers in South Africa. • The state of food and agriculture. Agricultural biotechnology: meeting the needs of the poor? • Advances in plant biotechnology and its adoption in developing countries •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2007 (ISAAA Briefing No 37) Executive Summary
규제당국의 승인을 얻은 바이오 식품은 재래농업 방식이나 유기농업을 통해 얻은 것 이상으로 안전하다. 생명공학 기술로 만들어진 바이오 식품은 인체 유해성 여부를 가리는 엄격한 테스팅을 거쳐 안전인증을 받고 있다. 바이오 식품은 또한, 영양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영양분과 맛을 향상시키면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물질은 줄일 수도 있다. 생명공학기술은 인체 안전성 측면에서 많은 이득을 준다.  오늘날 사람들이 섭취하는 바이오 식품은 가장 엄격한 검사를 받은 식품이며, 바이오 식품에 대한 안전성은 세계보건기구(WHO), 유엔식량농업기구(FA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미 국립과학원, 런던왕립학회는 물론 중국, 브라질, 인도, 멕시코의 국립연구소 등 전세계 학회 및 규제 기관에서도 보증을 받은 것이다. 바이오식품은 현재 뛰어난 영양, 향상된 맛, 알레르기 원인물질 감소 등을 특징으로 소비자 혜택과 건강증진이라는 측면에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기존의 재래식 육종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 또한 철저한 안전성 평가를 받은 뒤에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다. 음식이라도 “완전무결”이라는 것은 없다. 때문에 테스트와 규제는 극히 중요하다. 이를 통해 혹시나 있을지도 모를 위험성을 찾아내고 해당 식품이 인체에 안전하다는 것을 보증해야 한다. 현재까지 생명공학기술이 식품이나 인체 안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례는 일부 주장은 있었지만 과학적으로 입증된 경우는 하나도 없다. 생명공학기술을 지탱하는 과학은 엄청나게 발전한 상태로, 식품을 생산하는 데 쓰이는 기술은 재래식 기술에 비래 더욱 정교해졌다. 바이오 식품은 식품 역사상 가장 엄격한 검사를 거치며 시장 판매전과 판매 후에도 엄격한 관리감독을 받고 있다. 이를 통해 최소한 기존 식품만큼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검사는 식품의 모든 영양분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지방, 유성분–의 존재 및 농도를 측정해 영양분이 식품 변이의 정상범위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모든 음식에서 발견되는 자연발생적인 독성 및 반영양성분(anti-nutrients) 수준도 비교 검사 대상이다. 새로운 면역원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면역반응 검사도 실시된다. 이에 반해 기존의 많은 식품들은 개발 중의 상태라도 안전성을 분석하는 과정이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식품 안전성과 관련한 평가방법은 국제적인 차원에서도 확실히 정착된 상태다. 국제식품규격(Codex Alimentarius)을 통해 통일된 가이드라인도 마련됐다. 이를 통해 생명공학 미생물 및 식물을 통해 얻은 식품의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는데 세계 각국의 방식을 조율하고 지원하고 있다. 생명공학 동물과 관련한 위험성 평가 가이드라인 또한 이러한 틀 안에서 개발 중에 있으며, 영양강화 식품에 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도 고려되고 있다. 업계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업계는 검출방법이 최대한 이용되고 조화롭게 쓰이도록 필요한 자료를 개발해 정부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활동으로 식품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중요한 연구 결과물을 개도국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신규 제품의 위험성 평가에 대한 과학적 조언을 제공하며,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주도적인 리더십을 실천하고 전파하고 있다. 더욱이 인체건강과 안전성을 위한 생명공학기술의 잠재적인 이득은 상당하다. 건강에 더욱 좋은 유성분을 함유한 식품은 이미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해충의 공격을 피할 수 있는 생명공학 작물은 균류의 침투에도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바이오 식품은 영양과 맛의 개선, 알레르기 감소 등 소비자에게 이익을 주는 쪽으로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영양측면에서는 비타민 C나 E의 함유량이 높고 암이나 심장병과 같은 만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과일이나 채소가 연구 중에 있다. 골든 라이스(황금쌀, Golden Rice)는 비타민 A성분이 전혀 없는 일반 품종에 비해 베타 카로틴(체내에서 비타민 A로 전환)과 철분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한다. 이 품종은 개도국에서 비타민 A 결핍으로 시력상실 등 안과 질환을 앓는 최대 2억5000만 명의 어린이와 철분 부족으로 빈혈증에 걸린 14억 명의 여성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작물학자들은 생명공학기술을 사용해 특정 채소에 함유된 포화 지방산 비율을 낮춰 심혈관 관련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품종을 개발했다. 알레르기를 야기하는 항원 단백질 성분을 낮추거나 견과류, 우유, 콩과작물과 같은 식품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장기적인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생명공학기술을 통해 식품과학자들은 빠르고 정확하게 알레르기를 야기하는 항원 단백질을 찾고 제거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과일이나 채소의 영양성분이 골고루 갖춰진 식품이 인류의 건강을 보증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다. 이처럼 생명공학기술은 전세계 더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입을 수 있도록 더욱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농업을 실현시키고 있다.
재배 승인을 받은 생명공학 작물은 환경에도 안전하다.  생명공학 작물은 지속가능한 농업과 생물다양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서 농업의 환경영향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생명공학 작물은 환경 안전성을 위해 엄격한 검사를 거쳐 인증을 받고 있다.  식물 생명공학이 전세계에 주는 환경적 이점은 상당하다. 생명공학기술은 재배 면적당 수확률을 높이고 동시에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기준 물 사용량 대비 수확률 향상”)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때문에 현대 농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핵심 도구로 기능한다. 오늘날 농업인들은 환경(Environment) 보전, 에너지(Energy) 절약, 농가소득(Economy) 개선, 수확률 향상(Enhancing), 병충해 및 천재지변에 대한 내성(Endurance) 강화라는 당면한 “E 과제”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는 작물을 원하고 있다. 생명공학 작물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면서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농업의 실행자(enabler of sustainable agriculture)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 업계, 농업인들은 이러한 혜택이 환경 안전성을 보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생명공학 작물은 환경 안전성을 위해 엄격한 검사 과정을 거쳐 인증을 받고 있다.  세계의 유명 연구소 및 감독 기구는 생명공학 작물에 대한 환경 안전성에 확신을 갖고 있다고 선언했다. 이들 단체로는 세계보건기구(WHO), 유엔식량농업기구(FA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미 국립과학원, 런던왕립학회는 물론 프랑스, 중국, 브라질, 인도, 멕시코의 국립 연구소 등 전세계 학회 및 규제 기관이 많다.각국 정부와 기술 개발자들은 이들 작물의 재배과정과 이후 식품 공급체인의 각 단계에 따라 어떤 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단행했다. 생명공학 작물은 공개된 상태에서 심지어 실험경작과 실제 경작에 들어가기에 앞서 면밀한 위험성 평가를 거친다. 위험성 평가는 과학에 기초하고 각 케이스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생명공학기술의 혜택을 극대화하면서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이러한 노력은 실제 사용자들이 생명과학 기술을 최대한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돕기 위한 업계의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활동을 통해 더욱 지지를 받고 있다. 생명공학기술은 환경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환경상의 중대한 이득을 가져다 준다.  또한 생산적인 농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경작지를 늘릴지 않고도 세계의 식품 안전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생명공학 작물은 재배면적당 수확률을 높여주기 때문에 제한된 농지에서의 영농을 더욱 효율적이며 생산적으로 만들고 있다. 서식지 파괴가 생물다양성에는 가장 큰 단일 위협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높은 수확률은 그 만큼 농업인들이 경작지를 늘리지 않고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는 뜻으로 이를 통해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를 보호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제초제 내성작물은 무경운농법(no-till)과 같은 보존기술을 실행하는 데 도움을 준다. 무경운농법은 바람과 물의 침식작용을 막고, 토양수분의 손실을 막으며, 토양의 생물다양성 및 토양 비옥도를 높여주고 탄소 배출을 줄여준다.더욱이 가뭄 및 스트레스 내성 작물과 같은 새로운 바이오 품종들은 현재의 경작지를 가장 생산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회를 제공하며, 세계의 식량 안보를 향상시키고 동시에 환경을 보호해준다.식물 생명공학기술은 병충해 집중 관리(Integrated Pest Management)를 위한 중요한 도구이며 환경, 경제, 사회적 차원에서 지속가능성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완벽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생명공학 작물의 안전성 평가 방법은 1980년대 국가 기관 및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철저한 바이오 안전 연구에 기초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다. 생명공학 작물에 관한 바이오 안전 연구에 관한 상당 수의 피어리뷰 연구 논문이 발표됐다. 이들 논문은 승인된 생명공학작물이 재래식 방법으로 재배된 작물과 똑같이 안전하다는 점을 확인했다.전세계 감독 기관들은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은 표준적인 위험성 평가 방법을 통해 생명공학 작물의 상업적 이용을 검토해 왔다. 이를 통해 생명공학 작물은 인체와 동물 건강은 물론 환경에도 재래작물만큼 안전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농업과 관련된 바이오 작물이 이용되자 곧 바로 생명공학작물에 관한 안전성 연구가 시작됐다. 각국 정부와 기술 개발자들은 이들 작물의 재배과정과 이후 식품 공급체인의 각 단계에 따라 어떤 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단행했다.  오늘날 이러한 연구는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새로운 생명공학 솔루션의 개발을 지속적으로 지탱하는 기둥이 되고 있다. 각 정부의 요청에 따라 연구기관들은 국제적인 협회를 설립해 국제 바이오 안전성 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Biosafety Research)를 통해 이들 연구를 지지, 감독, 보고하고 있다. 생명공학 작물이 재배되고 소비가 시작된 지도 십 년이 넘었다. 전세계 사람들은 생명공학 기술로 만들어진 음식과 성분을 함유한 음식을 이미 섭취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식품 안전성 이슈 보고는 아직 한 건도 없는 상태다.농업인들에게 바이오 종자를 보급하고 후속 작물을 도입하는 것은 1986년 생명공학작물 규제 및 위험성 평가 가이드와 관련한 OECD 프로젝트를 통해 원칙이 정해졌으며, 이에 따라 국가 및 국제차원에서 철저한 규제를 받고 있다.(1) OECD 접근 방식은 바이오 작물의 각 단계, 소규모 실험 생산, 대규모 경작으로 권한이 이동하는 각 과정에 걸쳐 각 케이스에 따라 그리고 과학에 근거한 평가를 요구하고 있다. OECD 가이드라인은 그 동안 상당 부분 수정이 되었다. 그러나 전반적인 접근법은 전세계에서 생명공학 작물의 도입 (그리고 실제 모든 생명공학생물)은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됐으며, 이에 대한 가이드와 지지를 표명했다. 거의 2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안전성 기록은 생명공학기술이 주는 혜택을 인류의 건강이나 환경에 대한 위험을 주지 않고 실현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신기술이 도입되면 전세계 관련 전문가들이 새로운 작물 품종을 체계적으로 그리고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추가 연구도 지속적으로 실시된다. 현재 진행중인 연구로는 선택표지 유전자로서 항생제 내성이 있는 유전자의 사용, 유전자 수평전이(유전자 확산)의 잠재성, 변형 DNA가 토양에서 갖는 운명, 비표적 해충에 대한 Bt 유전자의 영향, 식품 알레르겐(알레르기를 야기하는 물질) 등이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는 사람과 동물 건강 및 환경에 대해 생명공학 작물이 재래 작물만큼 안전하다는 증거물이 점차 늘고 있다는 점이다. 생명공학 작물은 최소한 재래 작물만큼은 안전하다는 뜻이다.(2) 생명공학기술을 통해 새로운 응용작물이 개발될수록 더 많은 의문이 분명히 따르게 되지만 이는 철저한 연구를 통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Recombinant DNA safety consideration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 EC-sponsored Research on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