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작성 글
많이 본 글
- 1멍이 잘 들지 않고 비타민이 풍부한 ‘슈퍼 감자’로 변신하다—CRISPR 유전자 편집 기술 덕분에!
- 2A CALL FOR POLICY ACTIONS TO FOSTER PLANT BREEDING INNOVATION
- 3유럽 위원회의 새로운 미래 청사진에 명시된 대로 유전자 편집 작물이 수용에 한 걸음 더 가까워졌습니다.
- 4갈변 억제 바나나 시판된다…"유전자교정 기술로 음식폐기물 줄여"
- 5영국, 식량 안보 강화를 위한 정밀 육종 추진
- 6과학자들이 더 큰 토마토와 가지를 재배하는 유전자를 발견했습니다.
- 7[관점] Asilomar가 농업 유전자공학을 규제하기 위한 틀을 깬 지 50년이 지난 지금, 기술의 잠재력을 최대한 수용할 때입니다
- 8과학자들은 크리스퍼를 사용하여 향기로운 땅콩을 개발합니다
- 9[이덕환의 과학세상] 미래 기술 거부하는 'GMO 완전 표시제'
- 10영국 바이오기술 회사, 3월에 갈변되지 않는 바나나 출시 및 유전자 편집으로 유통기한 연장
국내외 자료

[보고서] 식량 및 농업 현황 2021 (The State of Food And Agriculture 2021)

COVID-19 팬데믹은 농업식량 시스템이 충격과 스트레스에 취약함을 드러내며 글로벌 식량 불안정과 영양실조 증가로 이끌었다. 우리는 농업식량 시스템을 더욱 회복력 있고, 효율적이며, 지속가능하고 폭넓게 만들도록 행동을 취해야 한다.
식량 및 농업 현황 2021 (The State of Food And Agriculture 2021)은 농업식량 시스템의 회복력을 국가차원의 지표로 나타내고 있다. 지표는 기본 식량생산과 식량 유용성의 견고성 뿐만 아니라 식량에 대한 물리적 경제적 접근성을 측정한다. 이는 회복력의 주요 측면인 충격과 스트레스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국가의 농업식량 시스템의 역량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해당 보고서는 식량 공급 체계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농가들이 위해와 충격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도 분석하였다. 보고서의 목표는 식량 공급 체계의 회복력을 강화하고, 농업식량 시스템 내 생계를 지원하며, 모두에게 충분하며 안전하고 영양가 있는 식량의 지속가능한 접근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을 만들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참조: https://www.fao.org/3/cb4476en/cb4476en.pdf


553개(1/28페이지)